[토요와이드] 1,132명 신규 확진…이틀째 네 자릿수 발생<br /><br /><br /><br />국내 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연일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어제 신규 확진자는 1,132명 발생했는데요.<br /><br />언제, 어디서 감염됐는지 알 수 없는 '감염경로 불명' 환자 비율도 떨어지지 않는 등, 주요 지표도 위험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자세한 소식, 김윤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연말연시 특별방역대책을 시행 중인데도 코로나19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. 어제도 천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왔는데요. 특별방역대책 효과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는 걸까요? 최근 추세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.<br /><br /> 감염경로 불명 사례 비율도, 27%대에서 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. 방역당국의 감염경로 미파악자 비율의 목표치는 5%인데요. 이에 비하면 약 6배를 초과한 셈이지 않습니까? 30%에 육박하고 있는 감염경로 불명 사례는 무엇을 의미한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정부는 내일 오후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 여부를 비롯한 추가 대책을 확정할 예정인데요. 2.5단계 효과가 미비하고, 연말연시 특별방역대책도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짧게라도 3단계 격상을 해야하는 것 아니냔 지적들이 나옵니다. 교수님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대규모 집단감염이 이어지고 있는 동부구치소 얘길 해보겠습니다. 2차 전수검사에서 무더기 확진자가 발생했는데요. 1차 전수검사로 대규모 확진자가 발생한 지 닷새 만이었거든요. 때문에 1차 전수검사에 문제가 있었던 게 아닌가란 의문도 제기되고 있는데요. 1차보다 2차에서 더 많은 확진자가 나온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? 그렇다면 앞선 전수검사에서 음성이 나왔다 하더라도 양성이 나올 가능성 여전히 크다고 봐야할까요?<br /><br /> 우려스러운 건 재판을 받기 위해 법원 등으로 이동한 수용자나 출퇴근하고 일상생활을 이어온 직원들에게서 추가 감염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는 겁니다. 동부구치소 집단감염이 지역사회로 이어질 가능성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렇다면 일주일도 안 된 시간 사이에 동부구치소 확진자가 급격히 일어난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방역당국은 전국 50개 모든 교정시설의 신입 수용자에 대한 진단검사를 실시하고 확진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해당 시설에 대한 전수검사도 하기로 했는데요. 이것만으로 비슷한 집단감염 사례를 예방할 수 있을지도 우려스러운데요?<br /><br />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의료진들의 피로도도 한계 상황에 치닫고 있습니다. 특히 확진자의 기존 질환까지 치료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데요. 특히 의료인력 부족과 관련해 현장에서 어떤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습니까?<br /><br /> 특히 신종플루, 메르스에 이어 코로나19 등의 감염병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감염내과 의사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통계가 나왔습니다. 감염내과 의사 근무지의 지역별 편차도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는데요. 실제 어떻습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